'archive'에 해당되는 글 7건

  1. 2021.08.05 각인
  2. 2016.12.01 John Cassavetes on film and art
  3. 2016.11.19 Met Breuer - Kerry James Marshall 1
  4. 2016.08.13 Artist Date(8.10.16)- Met Breuer
  5. 2015.10.03 Limit to your love
  6. 2014.12.31 tears become...streams become... 1
  7. 2014.08.17 Doubt- 회의는 계속된다, 쭉. 5
2021. 8. 5. 07:04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archive2016. 12. 1. 12:50

I'm lost by life. I don't know anything about life. If I make a movie, I don't even understand why I'm making the movie. I just know that there's something there. Later on, we all get to know what it's about through the opinions of others. If you make a film, it might as well be important as nonsense. You can't go for ten cents and expect to come up with a million. You have to go for everything. Whether you fail or don't fail, you have to go for what will make us better when we're finished. I like to work with friends and for friends on something that might help somebody. Something with humor, sadness; simple things.


The artist is really a magical figure whom we would all like to be like and don't have the courage to be, because we don't have the strength to be obsessive. Film is an art, a beautiful art. It's a madness that overcomes all of us. We're in love with it. Money is really not that important to us. We can work thirty-six, forty-eight hours straight and feel elated at the end of that time. I think film is magic! With the tools we have at hand, we really try to convert people's lives! The idea of making a film is to package a lifetime of emotion and ideas into a two-hour capsule form, two hours where some images flash across the screen and in that two hours the hope is that the audience will forget everything and that celluloid will change lives. Now that's insane, that's a preposterously presumptuous assumption, and yet that's the hope.


-From 'Cassavetes on Cassavetes'(edited by Ray Carney)

Posted by beinme
archive2016. 11. 19. 09:22

소영언니한테서 받은 책 'letters to a young artist'에서 Kerry James Marshall의 편지를 주의깊게 읽었는데 공교롭게도 Met Breuer에서 작가의 회고전이 열려서 오전에 요가하고 메트로 향했다. 그의 작품들을 통해 느낀 점을 한 줄로 표현한다면: Subvert.Challenge. Include.일 것 같다. 강하게 다가온 작품 몇 점: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Shadow of His Former Self

화질이 별로여서 아쉽지만ㅜ 랄프 엘리슨의 소설 투명인간에서 영감을 받아서 작업한 자화상. 눈과 이가 아니었으면 보이지 않았을 것이다. 흑인으로서 미술세계 그리고 세상에서 투명인간으로 취급받는 심정을 강렬하게 묘사했다.

Past times


흔히 백인의 레저 전유물로 인식되는 골프, 크로켓, 요트와 같은 활동을 전부 흑인들이 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 이미지 자체만으로도 강렬한 인상을 받았지만 자세히 보면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은 Snoop Dogg의 Gin and Juice 가사와 또다른 흑인 가수들의 노래 가사.


Bang


언뜻 보기에는 독립기념일 바베큐의 행복한 풍경을 묘사한 것처럼 보이지만 아래에 쓰인 'Happy July 4th' 다음에 나오는 말은 Bang. 독립기념일에 자주 하는 불꽃놀이 소리와 총소리를 동시에 연상시킨다. 노예제도 등 폭력에 바탕을 둔 미국의 역사에 대한 언급으로 보인다. We are one이라는 문구가 아이러니하다.


Our Town



Posted by beinme
archive2016. 8. 13. 01:43

찜통 더위 속에서 감행한 Met Breuer에서의 오랜만의 artist date. 날씨에도 불구하고 가길 정말 잘했다. 인상적이었던 작품 몇 개.



Tatsuo Miyajima: Arrow of Time(Unfinished Life)

Informed by his study of Buddhist philosophy and modern physics, Miyajima's work is premised on the concept of infinity. For the artist, infinity implies not only relentless flux - permanent impermanence, in other words - but also endlessness, whether spatial, temporal, or existential. Arrow of Time(Unfinished Life), created for the exhibition "Unfinished: Thoughts Left Visible," takes its title from a concept popularized by British astronomer Arthur Stanley Eddington in the late 1920s. Following Eddington, "time's arrow" describes the irreversibility of time, the very concept that Miyajima's installation enacts through its use of approximately 250 digital light emitting LED counters. The artist has programmed these devices to count from 1 to 9, at which point they go dark momentarily, before beginning the sequence again. According to Miyajima, the cyclical repetition of numbers, along with the recurring passage from light to dark, symbolizes the unending "time of human life." This idea is called "Samsara" in Buddhist metaphysics, which refers to the ongoing cycle of birth and death. Each of the LED lights is programmed to count at different speeds, variations that Miyajima intends to represent the nearly limitless differences between human beings. Hanging from the ceiling of the gallery,  these digital counters immerse viewers in a shower of light symbolizing both time and life.


이 작품의 진가는 정지되어 있는 순간에 주는 시각적 효과가 아닌 시간의 흐름 속의 시공간적인 변화에 있다. 가만히 서서 올려다 보면 각 불빛이 저마다의 속도로 9를 향해 간다. 그러고는 어느 순간 깜박. 한 불빛이 나간다. 그러다가 또 깜박. 다른 구석에서는 또 하나가 켜진다. 조용한 깜박임 속에서 무한하게 다른 인생들이 시작하고 끝을 맺는다. 삶과 죽음의 순환은 끊임없는 고리로 이어진다. 1600년대부터 2001년 9/11테러에 걸쳐서 뉴욕에 사는 다양한 인물들의 삶을 묘사한 Edward Rutherfurd의 New York, 그리고 패티 스미스가 6-70년대 뉴욕에서 예술가로서 자기 목소리를 찾는 과정을 그린 Just Kids을 읽고 있어선지 시간/역사에 대한 생각이 많은 요즘에 반가운 작품이었다.


Diane Arbus: Young man with bag smiling(?) (Coney Island)

안타깝게도 인터넷에서 이미지를 찾을 수 없다. Diane Arbus는 사회 언저리에 놓인 사람들 drag queen, 코니 아일랜드의 freak 등을 작업대상으로 많이 삼고 그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사진작가다. 하지만 내 관심은 카메라에 미소를 지어보인 젊은 청년의 사진에 머물렀다. 수줍어보이면서도 삶에 대한 어떤 만족감을 비친 그 미소가 좋았다. 그 사진이 1958년인가에 찍힌 거니까 그 당시 스무살이었다고 생각하면 지금은 여든에 가까운 할아버지겠지? 이 청년이 살았을 법한 인생을 상상해본다. 재미난 인생이었으면 좋겠다.






Posted by beinme
archive2015. 10. 3. 03:46


There's a limit to your love
Like a waterfall in slow motion
Like a map with no ocean
There's a limit to your love
Your love, your love, your love
There's a limit to you care
So carelessly there, is it truth or dare
There's a limit to your care
There's a limit to your love
Like a waterfall in slow motion
Like a map with no ocean
There's a limit to your love
Your love, your love, your love
There's a limit to you care
So carelessly there, is it truth or dare
There's a limit to your care



그 깨달음이 강타하는 순간.

Posted by beinme
archive2014. 12. 31. 12:50





Park Avenue Armory의 Drill hall 안에 있는 'tears become...streams become...'을 보러 갔다. 이 건물은 군사시설이자 사교공간으로 1861년에 지어졌는데 현재는 공연/설치예술/극장 등을 위한 예술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How many times have you cried in your life? How much fluid have you given to the world? Every day, every week, every month...A field of water. A field is endless - it goes on, and on, and on, and on. And as the water collects, the space it inhabits will never be the same again." -Douglas Gordon


이 작품은 이러한 생각에서 출발한다. 원래는 열흘 동안 Hélène Grimaud라는 피아니스트가 라벨, 리스트 등이 물을 모티브로 작곡한 작품들을 연주하는 동안에 서서히 이 공간이 물로 차오르게끔 했다. 그 결과는 위와 같이 물 속에서 공간이 뒤집어져서 보이는 심연과 같은 장관이다. 물을 바라보니 마치 한 평생 흘린 눈물이 담고 있는 헤아릴 수 없는 깊이와 아름다움을 목격하는 것 같아 눈물 나도록 먹먹했다. 물에 비쳐진 관람객의 모습을 보면서 이 눈물은 작고 유한한 존재인 우리를 초월하는 무언가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쁨의 눈물, 슬픔의 눈물, 고통의 눈물, 감동의 눈물. 모든 종류의 눈물은 생각해 보면 사람과 사람 간의 상호작용 혹은 사람의 행위로 인한 눈물이다. 우리의 마음과 마음이 함께함으로써 우리를 초월하는 그 무언가를 만들 수 있다는 것, 참 좋다.


나는 늘 혼자서 뭔가를 해결하고, 혼자서 어떤 일을 하는데 익숙해져 있었다. 그것이 자존심의 발로일 수도 있고 두려움의 발로일 수도 있는데(아니면 둘다) 어쨌거나 그랬기 때문에 함께 함으로써 이루어낼 수 있는 영역에 대해 무지했다. 그런데 연기는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강제로(?) 함께하는 연습을 하면서 내가 전혀 경험해 본 적 없는 영역의 가능성이 끝없이 펼쳐진다는 것을 느꼈다. 마치 비디오게임에서 한 고비를 넘기고 나서 있는 줄도 몰랐던 경로가 눈 앞에 나타나는 것처럼. 


그래서 의자에 앉아 심연의 물을 바라보면서 생각했다. 2015년은, 함께함으로써 나를 초월하는 한 해로 만들자. 내가 먼저 다가가고, 내가 먼저 마음을 열고, 내가 먼저 진심을 전하자. 그러면 내 앞에 펼쳐질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Posted by beinme
archive2014. 8. 17. 10:41



고 필립 시무어 호프만과 메릴 스트립의 열연으로 잘 알려진 영화 다우트의 원작인 희곡을 읽었다. 1964년, 플린 신부가 아동 성추행자임을 의심하는 알로이시스 수녀와 플린 신부 간의 팽팽한 갈등을 읽고 나서도 진실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 오직 끊임없는 회의와 의심이 허공을 맴돌 뿐이다. 아무것도 확신할 수 없는, 왠지 모르게 꺼림칙한 이 상태에서 희곡의 서문을 읽었다. 희곡도 희곡이지만 서문이 정말 강렬하게 다가왔다.


"  What is Doubt? Each of us is like a planet. There's the crust, which seems eternal. We are confident about who we are. If you ask, we can readily describe our current state. I know my answers to so many questions, as do you. What was your father like? Do you believe in God? Who's your best friend? What do you want? Your answers are your current topography, seemingly permanent, but deceptively so. Because under that face of easy response, there is another You. And this wordless Being moves just as the instant moves; it presses upward without explanation, fluid and wordless, until the resisting consciousness has no choice but to give way.


  It is Doubt (so often experienced initially as weakness) that changes things. When a man feels unsteady, when he falters, when hard-won knowledge evaporates before his eyes, he's on the verge of growth. The subtle or violent reconciliation of the outer person and the inner core often seems at first like a mistake, like you've gone the wrong way and you're lost. But this is just emotion longing for the familiar. Life happens when the tectonic power of your speechless soul breaks through the dead habits of the mind. Doubt is nothing less than an opportunity to reenter the Present."



어렸을 때 모든 것이 확실하지 않으면 견딜 수 없었다. 모호함, 회색지대 이런거 딱 질색이었다. 당연히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해서도 불안감에 짓눌렸다. 모든 게 딱딱 들어맞는 세상 속에서 걱정없이 살고 싶었는데 이상하게 살아가면 살아갈수록 모든 것이 회의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드는 것 같아 경악스러웠다. 그리고 사실 지금도 확실하지 않은 것을 견디는 능력이 우수하다고 말할 수 없다.


하지만 가만히 생각해보면, 존 패트릭 섄리가 위에서 말하듯 바로 그런 순간들로 인해 성장과 발전이 이루어진다. '말없는 영혼의 힘이 죽은 습관에 사로잡힌 정신을 뚫고 나올 때 삶은 시작된다.' 이 말이 너무 좋아 몇번이고 다시 읽었다. 나의 경우에는 그 힘이 한국에서의 내 삶의 방식에 대한 회의를 일으키고 결국에는 흑형들이 주말파티를 열고 있는 할렘으로 나를 이끌었다. 비단 이것은 개인적인 성장에 국한되는 얘기가 아니다. 혁명이든 사회적 움직임이든 모든 것은 기존의 삶의 방식에 대한 작은 회의의 씨앗에서 시작 되었으리라.


그래서 이제 조금은 회의라는 놈을 삶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다. 그것이 더 나은 나, 나아가 더 나은 사회로 이어지는 단계라는 믿음을 가지고 말이다. 존 패트릭 섄리의 마지막 말이 빵빵거리는 랩음악과 함께 맴도는 밤이다.


"  Doubt requires more courage than conviction does, and more energy; because conviction is a resting place and doubt is infinite- it is a passionate exercise. You may come out of my play uncertain. You may want to be sure. Look down on that feeling. We've got to learn to live with a full measure of uncertainty. There is no last word. That's the silence under the chatter of our time."




Posted by beinme